반응형

경제/경제 공부 19

경제공부3.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 (공급수요모형)

#1. 금리인상 최근 연준(미국의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에서는 금리인상을 통해 치솟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늘은 최근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인상을 하는 이유를 공급 수요 모형과 관련하여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자. 현재 금리는 3.25%고 다음 FOMC 회의에서 0.75%의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처음에는 23년까지 4.0 ~ 4.5%였던 금리예상치가 현재는 23년 초에 5%를 넘겨야 한다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금리인상 소식에 기업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경제학자들은 급격한 금리인상이 심각한 경기침체를 초래할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우리가 투자하고 있는 미국 시장, 즉 S&P 500 지수와 나스닥지수 또한 하락하고 있다. 금리인상이 왜 주식시장의 하락을 ..

경제공부2. 공급과 수요 모형

지난 포스팅에서 거시경제학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공급과 수요의 모형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다음 그래프 햄버거 공급 곡선이라고 생각해보자. 이제 그래프를 보면서 질문에 대해서 하나씩 답해보자. #1. 공급 곡선 1번 그림은 햄버거 가격이 상승할수록 이윤이 증대되어 햄버거 가게는 더 많은 햄버거를 공급하므로 그래프의 모양은 우상향의 정비례 그래프가 된다. Q1. 그렇다면 2번 그림처럼 A에서 B로 그래프가 옮겨간 경우 공급수량 대비 가격이 어떻게 된 걸까? ① 공급량 대비 가격이 높아졌다. ② 공급량 대비 가격이 낮아졌다. A1. 답은 1번 3번의 그림을 보면 a일 때는 10개를 10,000원에 구매할 수 있었는데, b로 바뀌면서 10,000원에 햄버거를 5개밖에 살 수 없다. 즉, 가격이..

경제 공부 1. 도대체 경제는 어떻게 돌아가는걸까? (거시경제학)

주식이 계속 하락하면서 주식시장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부동산도 마찬가지로 하락을 하면서 지금은 집을 사야 할 때가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글을 적고 있는 10월 11일에도 코스피 지수는 파란불을 켜고 미친 듯이 공포장을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오늘 갑자기 공포가 밀려왔다. 유튜브나 요즘 기사들을 보면 이번 인플레이션이 기회라고 한다. 그리고 이번 인플레이션을 이용해야지 부자가 될 거라고 하는데 그 전에 멘탈이 나가버릴 거 같고 지금이라도 손절을 해야 하나 싶은 공포심. 이 공포심을 잠재우기 위해서 공부를 시작했다. #1.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 얼마나 큰 경제학이야? 말 그대로 Macro (크거나 대규모임을 나타냄) -economics (경제학) 큰 경제학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