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레버리지 관련 포스팅에서 미국 빅 은행 3배 레버리지 MicroSectors US Big Banks Index 3X 레버리지 ETN (BNKU)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2.12.09 - [주식/해외주식(레버리지 ETF)] - 해외 레버리지 ETN 투자 - 미국 빅 은행 3배 레버리지 ETN (BNKU)
이번에는 미국 빅 오일 3배 레버리지 MicroSectors U.S. Big Oil Index 3X Leveraged ETN (NRGU)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
1. ETF 소개 및 기본정보
2. 성과
3. 10년 투자수익률 및 최대 수익률 ( 1M, 3M, YTD, 1Y, 3Y, 5Y, 10Y)
4. 정리
1. ETN 소개 및 기본정보
오늘 살펴볼 종목은 NRGU로 미국 석유 및 가스 회사의 동일 가중 지수의 3배 실적을 추적하는 MicroSectors U.S. Big Oil Index 3X Leveraged ETN이다.
NRGU의 기본 정보를 알아보자.
ETN | NRGU |
1. 기초자산 | - |
2. 자산규모 | 2.2B$ |
3. 수수료 (22년 10월기준) | 0.95% (22년 12월 기준) |
4. 배당률 (22년 10월 기준) | 0% |
5. 보유주식수 | 10개 |
6. 현재주가 (22.10.1 기준) | 436$ (22년 12월 19일 기준) |
*B 표시는 십억이란 뜻으로 빌리언 달러를 뜻한다. 1B 일 경우 10억 달러를 말한다. (약 1B = 10억 달러 = 1조 3000억 원 정도 된다.)
*M 표시는 백만이란 뜻으로 백만 달러를 뜻한다. 1M일 경우 100만 달러를 말한다. (약 1M = 100만 달러 = 13억 원 정도 된다)
NRGU의 상위 10개 종목은 다음과 같다. 총 보유 주식수도 10개이고 10개의 은행 주식에 10%씩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되어있다.
동일한 비중이기 때문에 사실 순위는 큰 의미가 없을 것 같다. 한번 살펴보면
- 세브론 공사
- 코노코필립스
- EOG 리소스. Inc
- 엑슨모빌
- 헤스 공사
- 마라톤 석유 공사
- 옥시덴탈 석유 공사
- 필립스 66
- 개척자 천연자원 공사
- 발레로 에너지 공사
이렇게 10개의 회사로 이루어져 있다.
2. 성과
중요한 과거 성과 대해 알아보자 (본 자료는 과거의 데이터이므로 투자를 권하는 것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NRGU가 파란색 선, SPY가 노란색 선이다. 최근 2년 자료를 보면 현재는 시장 성장률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1년 수익률 차트를 보면 올해는 S&P 지수보다 낮은 수익률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과 개요를 살펴보면 YTD 즉, 22년 1월 1일부터 오늘 날짜인 22년 12월 19일까지는 178.95%, 1년 수익률의 경우 200.78%이다. 원래 주가에서 X3을 하여 추종하는 것이기 때문에 확실히 상승하면 상승률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종목도 1개월, 3개월 전에 샀다면 마이너스였을 것이고 최소 1년을 버텨야 10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었을 것이다.
연간 수익률의 경우도 아래의 내용을 보면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년에는 -93.67% 거의 100%에 가까운 마이너스였고, 21년에는 164.66%나 올랐다.
3. 10년 투자수익률 및 최대 수익률 ( 1M, 3M, YTD, 1Y, 3Y, 5Y, 10Y)
20년에 초에는 역시 코로나로 인해서 약 거의 100% 정도의 마이너스를 보여주었고 이후 2022년 초 리비아 내전,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 확대 등으로 공급 차질 우려가 생긴 유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를 하는 등 공급 불안은 최고조로 높아지면서 공급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주가가 올라가면서 125% 정도의 수익률을 보여주었다. 현재는 금리인상과 여러 정책으로 기름값이 떨어지면서 주가 역시 조금 주춤하고 있는 상태이다.
4. 정리
22년 12월 19일 기준
2022년 하반기 석유시장 동향 및 전망 내용을 한번 살펴보자.
향후 유가 전망과 관련한 돌발변수들이 산적한 상황이나 펀더멘탈 한 수급 요인에 기초하여 살펴보면 하반기에도 러-우 전쟁 장기화 영향 등 공급불안 요인으로 타이트한 수급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높은 수준의 유가가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인플레이션에 따른 원유 수요 증가세 둔화가 예상되고, OPEC+의 증산, 미국 셰일 오일 생산량 증가 등이 러시아발 공급 충격을 완화하여 2022년 하반기 석유시장은 근소한 공급초과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유가도 상반기보다는 소폭 하락한 배럴당 100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본 포스팅은 매 분기마다 업데이트됨을 알려드립니다. (2022.12.19.)
'주식 > 해외주식(레버리지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 ETF 투자 - 테슬라 2배 ETF (TSLL) (49) | 2024.11.24 |
---|---|
해외 레버리지 ETN 투자 - 미국 빅 은행 3배 레버리지 ETN (BNKU) (45) | 2022.12.09 |
해외 레버리지 ETF 투자 - 우주항공 & 방위산업 3배 레버리지 ETF (DFEN) (30) | 2022.12.06 |
해외 레버리지 ETN 투자 - 빅테크 레버리지2 ETF (BULZ) (20) | 2022.10.18 |
해외 레버리지 ETF 투자 - 필수 소비재 3배 레버리지 ETF (WANT) (16) | 2022.10.13 |